2022
세종
축제
인사말
2022 세종축제를 시작하며

3년만에 세종시를 대표하는 ‘세종축제’가 시민곁으로 돌아왔습니다. 코로나로 인해 만나지 못했던 시민들이 축제를 통해 다시 만나고 열 살 세종시의 달라진 면모를 속속들이 느낄 수 있는 축제가 될 것입니다.
첫째, 축제의 공간인 도시가 달라졌습니다.
호수공원에 제한되었던 축제공간이 중앙공원과 금강보행교까지 확장됩니다. 2019년까지는 경험하지 못했던 중앙공원이 완성되어 락페스티벌과 무대공연, 연계행사인 정원산업박람회 콘텐츠로 단장하고 시민들을 맞이합니다. 국내 최대규모의 금강보행교 위에 올라 금빛 강물과 노을을 바라보며 세종시에서만 느낄 수 있는 자연속 도시의 매력을 만끽합니다.
둘째, 축제를 만드는 주체가 달라졌습니다.
시에서 주관하던 축제를 세종시의 문화를 기획하고 선도하는 문화재단이 주관하면서 진정한 문화예술축제로 거듭나 많은 지역문화기획자, 시민기획자, 전문예술가와 시민예술가들이 참여하는 명실상부한 지역 대표축제가 되었습니다. 시민과 시민예술가들이 축제의 단순 관람과 참여를 넘어서 직접 출연자로 출연하고, 기획자로 기획과 운영에 참여하며 축제의 노하우가 지역의 자산으로 축적되기 시작합니다.
셋째, 축제에서 만날 수 있는 콘텐츠가 달라졌습니다.
호수공원에서만 시민들을 만났던 세종축제의 공간적 외연이 확장됨과 동시에 축제의 콘텐츠가 다양해졌습니다. 오랜만에 시민과 직접 만나는 세종시의 관련부서와 기관, 관련 정부부처와 기관들도 세종축제와 함께하며 시민들을 위한 큰 축제의 마당을 펼칩니다. 무대공연과 전시, 과학체험과 녹색체험, 거리공연과 서커스, 낙화놀이와 폭죽까지 축제에서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것들이 테마로 연결되고, 공간에 녹아들어 시민들을 만납니다.
넷째, 시민들의 참여방식이 달라졌습니다.
10년된 세종시에서 코로나를 극복하며 세종축제를 맞이하는 시민들의 기대는 특별합니다. 시민기획공모에 참여한 지역의 시민예술인들과 전문예술인들이 직접 콘텐츠를 만듭니다. 무엇보다 시민참여 분야의 모든 프로그램을 수개월간 시민기획단으로 양성된 시민들인 ‘세빛들’과 ‘홍보기획단’이 기획하고 홍보하며 만들어왔습니다.주어진 축제를 수동적으로 경험하는 시민이 아니라 주인이 되어 직접 축제를 만들어가는 시민이되어 도시의 일상을 행복한 축제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다섯째, 세종과의 만남이 달라졌습니다.
지금까지의 세종축제가 세종의 업적을 기리는 축제로 대왕 세종을 기념하는 축제였다면, 지금부터의 세종축제는 세종의 자주, 애민, 실용의 철학을 시민의 일상과 활동에 적용하고 창의적인 세종의 실천을 시민의 활동으로 이어가며 친숙한 세종을 만나는 축제가 됩니다. 미래도시 세종시에서 세종이 꿈꾸던 가치를 실현하고 선도하는 시민 세종을 만들어냅니다.
세종축제 2.0의 슬로건은 “걷다, 쉬다. 놀다. 미래도시를 만나다”입니다. 공원에 소풍가듯 축제의 현장에 나오고 호숫가의 쉼터에서 쉬다가, 축제에 취해 자연에 동화되어 놀다가 미래도시의 문화를 만나는 축제가 세종축제입니다.
세종축제로 오셔서 함께 걷고, 함께 쉬다, 함께 놀면서 미래도시 세종을 만납시다.
세종시 문화재단
세종축제 기획단
세종축제 시민기획단
일동 드림
Meet The Team

2022 세종축제를 만드는 사람들

양완식 문화체육관광국 국장
안종수 문화예술과 과장
차하철 문화예술과 문화정책담당
윤민혜 문화예술과 문화정책담당 주무관

세종시문화재단
대표이사 김종률
예술사업본부장 김혜옥
축제문화팀 류효정 김혜리 황소연 이소리
축제감독단
총감독 윤성진
감독단 전용석 부감독 정헌영 지속가능성감독
이은숙 기획실장/부감독
매니저 김서현 매니저 윤소현 홍보매니저
![무제-1-[복구됨].png](https://static.wixstatic.com/media/26ec43_2e6439b8aad44ebd8b7a92ce013a73be~mv2.png/v1/fill/w_788,h_24,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EB%AC%B4%EC%A0%9C-1-%5B%EB%B3%B5%EA%B5%AC%EB%90%A8%5D.png)

김동학 前 세종축제 추진위원
김태욱 2021 세계유산축전 총감독
손미경 세종예총 회장
오수잔나 코리아닷컴 부사장
이선철 감자꽃스튜디오 대표
이우형 패더럴모굴세종 대표이사
이희성 세종축제 자문위원장
이희택 지역언론인
임채성 세종시의회 의원
조성환 세종민예총 회장
故주재연 한국축제감독회의 회장
진해선 시민주권특별회의 문화체육분과 위원장
황인선 (주)구루미 화상사회연구소장

기본교육
구병래 김금하 김다윤 김문규 김선하 김소희 김영희 김용화
김채원 김현조 나인채 모승덕 박순영 박종오 박지선 박지혜
박현아 박현정 박희중 배선경 백선숙 서창규 송아영 신수양
안호성 오다영 오지연 윤시현 이대우 이새벽 이송경 이아영
이연실 이종석 이지민 이채원 이한별 정채연 차정님 홍지복
심화교육
시민기획팀 김예은 김정순 박우진 설서윤 신지연 윤선희
최지현
초록동네팀 강아현 김애정 박윤경
조치원프린지팀 서민정
현장기획팀 구예슬 백가연 변미정 윤 경 이예진
홍보팀 강지연 김광석 김아란 정현주 오정연 차창석

전문기획
한글과 함께 뛰어봐요 친환경 바닥 놀이터
김완호 윤지훈 조용민 채유빈 하진우
쌍방향 소통극 세종명탐정, 어명을 수행하라
남상혁 도재경 이제석 황나영
조치원 설화 기반 미션게임 낮도깨비 게임
권덕순 김선영 김영덕 안광우 이경재 이윤미 이은우 임수연
조성환 홍이택
세종청년들의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 ( ) 달 : 달달 무슨 달?
권경림 권예지 김연의 양연주 임혜정 홍채영
시민기획
연서초등학교 기획자들의 캠페인 : 동물의 마음속 외침을 들어줘
이찬희 교사 장민주 교사
강수연 곽재이 김기도 김다나 김도윤 김도현 김동하 김범진
김서경 김성진 김연호 김영은 김태윤 남예준 박서윤 손지우
오규진 오지민 우승환 유시온 유연훈 유일중 유하린 이승민
이진화 이하진 임지수 임지환 전종서 정제인 정 협 함보희
홍지민
한글과 만나는 설레는 체험 우아한글
이기대 교수
고준열 경민선 임수혁 윤준서 조성준 조원탁 정지영 차혜빈
황승연
지역에서 피트니스 웰니스아우어세종
김연주 정은화
침산추월 야외 미션게임 : 잃어버린 달을 찾아서
김혜나 박성민 박지완 장민하 전우영
![무제-1-[복구됨].png](https://static.wixstatic.com/media/26ec43_2e6439b8aad44ebd8b7a92ce013a73be~mv2.png/v1/fill/w_788,h_24,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EB%AC%B4%EC%A0%9C-1-%5B%EB%B3%B5%EA%B5%AC%EB%90%A8%5D.png)

시네마다방 두잉지 리리 변상이 스틸마스프링
이미나 장승아 청자장 PAL문화유산센터

고운소리색소폰앙상블 권선홍 그린스무드 루시드 루프탑버스킹 미오앙상블 바투
사랑옵다 예술단 세종시가야금연주단 세종빛깔합창단 세종프리마성악연구회 세종HM벨리퀸무용단
어머밴드 최정화 퍼포머 넘버원

강건휘 강루빈 김연수 김연호 김현숙 박지영 변미정 서문교 송아인 엄혜빈 유혜준 이도연
이서준 이예승 이예준 이우주 이택미 정도윤 주연우 주은 최다인 최연정 최윤호 최윤후 황유주

음악감독 서창규 세종시 교향악단 굴렁쇠합창단 세종남성합창단 세종 벨라보체 여성합창단 세종 킹스콰이어